‘개막전 선발투수로 1군 데뷔’ 2002년생 오릭스 버팔로스 우완 투수 야마시타 슌페이타, 최고 구속 157km/h… 5.1이닝 1실점

728x90
반응형

2002년 7월생, 프로 3년 차 우완 투수가 1군 경기에 첫 등판했다. 놀라운 점은 데뷔전이 정규시즌 개막전이고, 더구나 선발투수로 나섰다는 것이다.

 

1군 첫 등판이 개막전 선발, 일본 프로야구(NPB)가 퍼시픽리그와 센트럴리그, 양 리그로 분리해 출범한 1950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오릭스 버팔로스의 전신인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까지 올라가면, 69년 만의 일이라고 한다.

 

오릭스의 야마시타 슌페이타(21 · 山下舜平大 · Shunpeita Yamashita)가 그 주인공이다.

 

사진|개막전 선발투수로 1군 무대에 데뷔한 오릭스 버팔로스 야마시타 슌페이타 (출처.오릭스 버팔로스)

 

야마시타는 3월 31일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 세이부돔에서 열린 세이부 라이온스와 원정 개막전에 선발로 나서 5.1이닝 4피안타 7탈삼진 1볼넷 1실점을 기록했다.

 

3회 1사 후 첫 안타를 내준 뒤 4회 이날 유일한 실점을 했다. 선두타자 도노사키 슈타(外崎修汰 · Suta Tonosaki)를 중전 안타로 내보냈고 다음 타자 4번 야마카와 호타카(山川穂高 · Hotaka Yamakawa)를 스탠딩 삼진으로 잡으며 한숨을 돌리는가 싶었지만, 5번 구리야마 다쿠미(栗山巧 · Takumi Kuriyama)에게 중견수 방향 적시 2루타를 맞았다.

 

이후 두 타자를 연속 범타로 처리하며 이닝을 끝낸 야마시타는 6회 1사 후 1-1 상황에서 마운드를 넘기고 승·패 없이 1군 첫 등판을 마쳤다.

 

1-2로 끌려가던 오릭스는 9회 2-2 동점을 만든 뒤 연장 10회 결승점을 뽑으며 3-2 역전승을 거뒀다.

 

야마시타는 신인 드래프트 1순위 지명 선수다. 신장 190cm 체중 98kg으로 체격 조건이 매우 좋다. 큰 키에서 뿌리는 빠른 공이 위력적이다. 패스트볼 최고 구속이 158km/h에 이르고, 이 날도 패스트볼 최고 구속 157km/h까지 기록했다.

 

사진|야마시타 슌페이타의 156km/h 패스트볼 (출처.MLB PARK)
사진|야마시타 슌페이타의 157km/h 패스트볼 (출처.MLB PARK)
사진|야마시타 슌페이타의 158km/h 패스트볼 (출처.MLB PARK)

 

입단 첫 해인 2021시즌, 2군 18경기에 나서 65.2이닝을 던진 야마시타는 지난 2022시즌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와 재팬시리즈 엔트리에 들었지만 등판 기회가 없었다.

 

올 시즌은 시범경기에서부터 호투했다. 시범경기 네 차례 등판해 15.1이닝 동안 8안타 23탈삼진 평균자책점 2.35를 기록했다. 탈삼진 능력이 눈에 띈다.

 

사진|야마시타 슌페이타의 120km/h 커브 (출처.MLB PARK)
사진|야마시타 슌페이타의 123km/h 커브 (출처.MLB PARK)
사진|야마시타 슌페이타의 138km/h 스플리터 (출처.MLB PARK)

 

오릭스의 에이스, 1선발은 야마모토 요시노부(25 · 山本由伸 · Yoshinobu Yamamoto)다. 2년 연속 ‘투수 4관왕’에 올랐고, 2년 연속 사와무라 상을 받은 일본 프로야구 최고 투수다. 예년 같았으면 당연히 개막전 선발투수는 야마모토다.

 

그러나 야마모토와 주축 선발 미야기 히로야(22 · 宮城大弥 · Hiroya Miyagi)가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가 복귀해 컨디션을 점검 중이다. 앞서 2군 리그에 등판하며 컨디션을 체크했다. 이 때문에 야마시타에게 개막전 선발 등판 기회가 돌아갔다.

 

NPB리그 3연패를 노리는 오릭스는 야마시타가 등판한 개막전에서 3-2 역전승을 거두며 가볍게 첫걸음을 뗐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