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첫 ‘멀티 홈런’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2024시즌은 ‘거포 2루수’?

728x90
반응형

 

키움 히어로즈가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가며 한화 이글스를 꺾고 파죽의 7연승을 내달렸다.

 

홍원기 감독이 이끄는 키움은 4월 7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2024 신한은행 SOL KBO리그 한화와의 홈경기에서 홈런 3방을 포함해 장단 8안타를 터트리며 연장 11회 접전 끝에 4-3으로 승리했다.

 

지난 4일까지 8승 2패로 단독 선두를 달리던 한화를 안방으로 불러 주말 3연전을 모두 승리한 키움은 선두 NC 다이노스에게 1경기 뒤진 단독 3위로 뛰어올랐다(7승 4패).

 

키움은 선발투수 김선기가 5이닝 3피안타 1실점으로 2경기 연속 좋은 투구를 선보였고 연장 11회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루키 전준표가 프로 데뷔 첫 승을 신고했다.

 

타선에서는 송성문이 7회 한화 선발투수 김민우를 상대로 동점 투런 홈런을 터트렸고 3번 타자 2루수로 출전한 이 선수가 3안타 2홈런 2타점 2득점으로 키움의 승리를 이끌었다.

 

1회 동점 솔로포에 이어 연장 11회 말 끝내기 홈런을 작렬한 키움의 간판스타 김혜성이 그 주인공이다.

 

KBO리그 유일 ‘유격수-2루수’ 골든글러브 수상자

사진|KBO리그 유일의 유격수-2루수 골든글러브 수상자 김혜성 (출처.키움 히어로즈)

 

키움은 201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으로 ‘바람의 아들’ 이종범의 피를 이어받은 휘문고 내야수 이정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지명했다.

 

이정후는 고교 시절까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유격수로 활약했지만 당시 키움의 주전 유격수는 현재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는 김하성(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이었다.

 

결국 이정후는 타격 재능을 살리기 위해 외야수로 변신했고 루키 시즌 179안타 111득점을 기록하며 신인왕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정후가 외야수로 변신한 이유는 꼭 김하성 때문만은 아니었다. 키움에는 201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지명 1라운드 전체 7순위로 지명했던 또 한 명의 대형 내야 유망주 김혜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주전 3루수 김민성(롯데 자이언츠)이 1988년생, 2루수 서건창(KIA 타이거즈)이 1989년생이었던 만큼 1999년 1월생 김혜성이 순조롭게 성장한다면 히어로즈의 내야는 원활한 세대교체를 할 수 있었다.

 

입단 동기 이정후가 입단 첫 해부터 돌풍을 일으키는 동안 루키 시즌 1군에서 16경기 출전에 그쳤던 김혜성은 2018년 서건창의 부상을 틈타 2루수로 활약하며 타율 0.270 5홈런 45타점 79득점 31도루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유격수로 43경기, 2루수로 50경기에 선발 출전하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키움의 한국시리즈 진출에 기여했다. 야구 팬들이 김혜성을 KBO리그의 미래를 이끌 젊은 내야수로 인정하기 시작한 시즌이기도 하다.

 

2020년까지 1루를 제외한 내야 전 포지션과 좌익수까지 오가며 팀의 빈자리를 채우던 김혜성은 2021시즌을 앞두고 김하성이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면서 키움의 주전 유격수로 낙점받았다.

 

2021년 전경기에 출전한 김혜성은 타율 0.304 3홈런 66타점 99득점 46도루로 도루왕 타이틀과 함께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하지만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13타수 8안타(타율 0.615)로 맹활약하고도 메달 획득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021년 유격수 골든글러브 수상자였지만 실책을 무려 35개나 저질렀던 김혜성은 2022년부터 2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수비에 대한 부담이 다소 줄어든 김혜성은 2022년 타율 0.318 4홈런 48타점 81득점 34도루를 기록하며 2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KBO리그 역사에서 유격수 골든글러브와 2루수 골든글러브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선수는 오직 김혜성 한 명 밖에 없다.

 

0.174 빈타 후 0.538 3홈런 12타점 맹타

사진|지난 7일 데뷔 첫 멀티 홈런을 기록한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출처.키움 히어로즈)

 

2022년 SSG 랜더스와의 한국시리즈에서 타율 0.190(21타수 4안타)으로 부진한 김혜성은 2023년에도 이정후가 86경기 출전에 그쳤던 키움에서 실질적인 간판타자로 활약했다.

 

물론 팀의 최하위 추락으로 빛이 바랬지만 타율 0.335 7홈런 57타점 104득점 25도루는 프로 데뷔 후 최고 성적이었고 유격수 시절까지 포함하면 3년, 2루수로는 2년 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여기에 항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병역혜택까지 받았다.

 

루키 시즌 출전 경기가 부족해 해외 진출 자격을 얻지 못한 김혜성은 친구 이정후가 6년 총액 1억 1,300만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몸값을 받고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는 장면을 지켜봤다.

 

김혜성 역시 올 시즌이 끝나면 메이저리그 진출 자격이 주어지는데, 지난 3년간 골든글러브를 휩쓸고 있는 김혜성 역시 팀 선배 강정호와 김하성처럼 개인적인 목표는 대부분 이룬 상태다. 김혜성 역시 메이저리그 진출에 대한 꿈을 감출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메이저리그에 도전하기 전, 최고의 시즌을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이었을까. 김혜성은 2024시즌 개막 후 5경기에서 타율 0.174(23타수 4안타) 1홈런 1타점으로 이름값을 전혀 해주지 못했다.

 

키움 역시 개막 4연패 이후 간신히 첫 승을 따내며 고전했다. 몇몇 야구 팬들은 메이저리그 진출이라는 김혜성의 목표가 너무 무모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혜성이 타격감을 회복하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개막 후 5경기에서 1할대 타율에 허덕이던 김혜성은 최근 6경기에서 무려 26타수 14안타(타율 0.538) 3홈런 12타점 7득점 6도루를 폭발시키고 있다.

 

특히 7일 한화와의 주말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서는 1회 한화 선발투수 김민우를 상대로 동점 솔로포를 터트린 데 이어 연장 11회에는 4번째 투수 이태양을 상대로 끝내기 홈런을 작렬했다.

 

최근 6경기 연속 안타를 때려내고 있는 김혜성은 그중 5경기에서 멀티 안타와 멀티 타점을 기록했다.

김혜성은 2020년과 2023년에 기록한 7홈런이 한 시즌 개인 최다홈런 기록이고 지난해까지 통산 홈런도 26개에 불과했다. ‘똑딱이’까지는 아니지만 거포는커녕 ‘중·장거리 타자’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수준의 파워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김혜성은 올 시즌 하체 움직임을 바꾸며 비거리를 늘리기 위해 노력했고 현재까지는 그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2024시즌 후 메이저리그 진출을 노리고 있는 김혜성은 과연 올해 얼마나 인상적인 시즌을 보낼 수 있을까.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